본문 바로가기

* TIP *

✅ 자주 틀리는 맞춤법 오타 TOP 15 (되요/돼요, 왠지/웬지, 일일히/일일이)

❌ 잘못된 표현✅ 올바른 표현✏️ 설명

 

되요 돼요 ‘되다’의 활용은 ‘돼요’가 맞아요.
왠지 왠지 / 웬지 대부분은 **왠지(왜인지)**가 맞음. ‘웬일이야’는 웬~ 사용.
않돼요 안 돼요 부정 ‘안’ + 동사 ‘되다’ = 띄어 써야 맞음.
들을께요 들을게요 ‘-을게요’가 맞는 어미. ‘~을께요’는 ❌
가졌었어요 가졌어요 중복 과거 표현. ‘-었었어요’는 되도록 피하는 게 자연스러워요.
설레인다 설렌다 ‘설레다’는 자동사이므로 ‘설레인다’는 ❌
재밌는 재미있는 구어체로는 ‘재밌는’ OK, 문어체나 공문서에는 ‘재미있는’ 사용 권장.
일일히 일일이 부사형은 ‘일일이’가 맞음. (하나하나 전부)
간지럽히다 간질이다 ‘간지럽히다’는 구어체지만 표준어는 ‘간질이다’
오랫만에 오랜만에 ‘오래간만에’ 줄임말은 ‘오랜만에’예요.
-ㄹ 수 밖에 없다 -ㄹ 수밖에 없다 ‘밖에’는 조사로 붙여 써야 맞아요.
왠만하면 웬만하면 '웬~' 계열입니다. ‘왠만하면’은 틀린 말!
수고하세요 수고하셨습니다 ‘수고하세요’는 상급자에겐 부적절. 격식 있게 ‘수고하셨습니다’로!
낫다 vs 낮다 발음 주의! ‘병이 낫다’ / ‘키가 낮다’ 의미 따라 구분해야 해요.
맛있는걸요 맛있는걸요. 종결형도 마침표로 깔끔하게 마무리!

 

더 알아두면 좋은 맞춤법 & 표현 20선

❌ 틀린 표현✅ 맞는 표현📝 설명
웃프다 → ❌ 웃기면서 슬프다 (비표준어) ‘웃프다’는 신조어, 표준 문장에서는 사용 주의
안돼안돼 → ❌ 안 돼, 안 돼 ‘안’과 ‘돼’는 꼭 띄어 써야 함
어떻해 → ❌ 어떡해 ‘어떻게 해’의 줄임말은 ‘어떡해’
않으면 안돼요 → ❌ 않으면 안 돼요 부정 표현은 띄어쓰기 필수
하려고요 → ✅ 구어체에서도 적절한 활용  
예쁘다 → ✅ 이쁘다 → ❌ (구어체 가능) 공식 글에서는 ‘예쁘다’ 사용
치뤘다 → ❌ 치렀다 ‘치르다’의 과거형은 ‘치렀다’
왠지 모르게 → ✅ '왜인지' 줄임말, 사용 가능  
돼 → ✅ / 되 → ❌ (문맥 따라) '돼'는 ‘되다’의 활용형으로 대부분 사용  
시켜놓고 → ✅ 복합어는 붙여 씀  
하려면 → ✅ / 할려면 → ❌ ‘하려면’이 맞는 표현  
말하다시피 → ✅ / 말한바와같이 → ❌ 과도한 한자어는 피하기  
더 낳다 → ❌ 더 낫다 비교급은 ‘낫다’ (낳다=출산)와 구분해야 함
적응을 시키다 → ✅ 자연스러운 표현, 문맥에 따라 ‘적응하게 하다’도 가능  
그렇게 까지 → ❌ 그렇게까지 부사 + 조사/부사는 붙여 씀
마춰보다 → ❌ 맞춰보다 '마추다'는 잘못된 표기
엉성히 → ❌ 엉성하게 '-히'를 붙일 수 없는 일부 형용사 있음
몰랐었어요 → ❌ 몰랐어요 중복 과거 표현은 되도록 지양
그럴려고 → ❌ 그러려고 ‘그러하다 + 려고’의 축약형은 ‘그러려고’
당최 → ✅ 강조 부사로는 쓰이지만, 문어체에서는 피하는 게 좋음  

✍️ 자주 틀리는 띄어쓰기 예시

표현설명
할 수 있다 (O) / 할수있다 (X) '수'는 의존명사라서 반드시 띄어 써야 해요.
같이 가요 (O) / 같이가요 (X) 부사 + 동사는 띄어 씁니다.
좀 더 정확하게 (O) / 좀더정확하게 (X) '좀 더'는 강조 표현으로 띄어 써야 자연스러움
되게 귀여워 (O) / 되게귀여워 (X) 부사와 형용사는 보통 띄어 써요

 


🔈 발음은 비슷하지만 의미는 다른 단어

단어뜻 구분
낳다 / 낫다 / 낮다 낳다: 출산 / 낫다: 병 회복, 더 좋다 / 낮다: 높이 반대말
맞다 / 맡다 / 받다 맞다: 정답, 부딪히다 / 맡다: 책임 / 받다: 수령하다
되다 / 돼 / 되요(❌) 돼 = ‘되다’의 활용형 / ‘되요’는 아예 틀린 표현입니다.

🔤 보너스: SNS에서 자주 쓰는 표현 중 조심해야 할 것들

  • ~할께요 → ❌ / ~할게요 → ✅
  • 감사드립니다 → ❌ / 감사합니다 or 고맙습니다 → ✅
  • 기대되요 → ❌ / 기대돼요 → ✅
  • 헷갈리네요 → ✅ (헷갈리다 = 표준어)
  • ~같은데요? → ✅ / ~같은데요. → 좀 더 공손함